이 지침서의 목적은 조사 관련기관에 필수정보를 제공하고, 인구집단의 구강건강상태평가를 위해 수행하는구강건강조사 계획을 제시하며,구강건강에 대한 자가평가와 사회적 위험행동 요소에 대한 자료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예방치과계의 임상 가이드북으로 실제 환자나 대상자를 어떻게 예방·진료해야 하는지 그 구체적인 과정과 실제를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심미적·기능적인 총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관련 이론의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성실한 실습을 통해 제작과정을 연습하고 충분한 임상 경험을 쌓아야 한다.이에 이번 총의치기공학은 학습하는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고 제작과정을 습득할 수 있도록내용과 사진을 대폭 수정하여 새롭게 발행하였다.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사진을 추가하였으며, 그래프를 도표로 변형시켜 가독성을 높였다.대학 교재인 만큼 학생들이 치과기공에 사용되는 치기공재료에 대한 특성과 기본 이론을 습득할 수 있도록치과기공학과 학습목표에 중점을 두어 편집하였다.
구강해부학 제4판 개정판은 학생들이 어떻게 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표와 그림을 수정하였다. 특히 이번 개정에서는 두개골의 분류에서 뇌두개골(6종 8개), 안면두개골(9종 15개)로 수정하였으며,권골을 관골로 명칭을 변경하고 통일하였다.또한, 우리말 용어를 수정 추가하여 치과 분야의 다른 과목에서 구강해부학 관련 용어를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서는 구용어 - 신용어 - 영어 순으로 병기하여 내용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고, 각 장별 내용을 요점정리하여 국가고시에 꼭 필요한 핵심내용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최종 복습문제를 통해 반복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그림, 요약, 표, 모식도, 복습문제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언제든지 한글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며, 영어 용어를 병기하여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거나 국제학술대회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