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여성의 건강에 대한 변화된 시대의 흐름을 파악하여, 여성이 스스로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접근을 할 수 있도록성과 여성의 건강, 결혼에 관련된 주제들을 정리해 보고, 최근의 이슈와 요구를 수렴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서는 여성과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존재로서의여성이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삶의 안내서이다.
이번 개정판은 학습자가 꼭 습득해야 할 필수 내용을 중심으로 총 20장의 6개 단원으로 구성하여연습문제와 최신의 간호연구 방법 등을 추가하여 개정하였다.또한 연구의 원리와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안내하기 위해 가급적 쉬운 용어를 사용하고다양한 실제 사례와 연습문제를 제시하였다.
보건교육을 배우는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보건과 교육의 지식 및 기술을 배우며, 특히 새로운 교육적 인식을 경험할 수 있다.또한 교수 및 학생들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실제 적용사례를 통해 쉽게 활용할 수 있다.실제 간호사가 직접 수행하는 현장별 보건교육 및 주제별 보건교육의 사례는 매우 유용한 경험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제1부 정보와 정보화 사회, 제2부 보건의료와 정보, 제3부 정보와 윤리,총 3개의 부(part)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학문 분야이건 의사소통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영역이다. 특히 간호학에서는 오래전부터 의사소통을 학문과 실무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인식하여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를 포함하였다. 이번 개정에서는 기존의 내용에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첨가하고, 건강 의사소통의 최신 지견을 첨가하였다.
본서는 각 발달기별 주요 발달 이슈와 관련 사례 연구, 문제풀이를 주요 내용으로 한 워크북을 개발하여매 발달기에 포함하여 기존 간호학 서적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였다.
전반부에는 암에 대한 기본 이론지식을 수록하여 현장실습 또는 취업현장에서 암등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필요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실무에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충분히 익힐 수 있도록 하였으며,후반부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와 관련된 실제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실었다.
의료현장에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해야 하는 직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의무기록정보를진료과별로 배치하여 검토 및 분석·분류·등록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교재는 국제의료행위분류(ICD-9-CM. Vol. Ⅲ)를 사용하여 진단검사·수술·처치에 관한 의료행위의 코드를 분류할 때는진단명과 연계된 검사, 수술, 처치를 함께 코드 분류할 수 있도록 22개 각 장별로 의료행위 코딩을 위한 실무예제를 수록하여전문적이고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